개발자로 회사에서 업무를 진행하는 모습을 조금 깊게 들어가 보면, 결국 눈앞에 주어진 하나하나의 Issue를 다루는 일의 반복이었다.
하나의 이슈를 어떻게 처리하면 좋을지 한 번 정리해 보고, 생각없이 진행하는 행동은 없을지 찾아보자
이슈 이해하기
이슈를 처리하려면 이슈에 대한 이해가 꼭 필요하다 무엇을 고치려고 하는지! 이슈 이해에 필요한 정보는 어떤 것이 있을지 한번 적어 보자
- 현재 상황
- 현재 문제를 재연하는 방법이 반드시 필요함
- 완료 조건
- 기존의 문제가 아닌 기대하는 반응에 대한 정의
- 커뮤니케이션 담당자
- 해결 완료 후 알려줘야 할 대상
- 필수는 아니지만 이런 것 도 포함되면 좋을 듯
: 이 내용들은 작업 결과물에 어느정도 퀄리티를 줘야 할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.- 작업 배경
✏️ 이슈를 열어보고 위 내용 중 하나라도 빠진 것 이 있다면 채워 넣도록 하자!
특히 '문제 재연' 방법!! 반드시 필요
이슈 처리하기
문제 재연이 성공했다면 이슈를 처리해 보자!!
반복되는 작업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, 가능하면 간단하게 재연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게 특히 중요하다
(커멘드라인 한 줄로 확인 가능하다면 최고!!!)
그리고, (바로 해결하러 들어가기 전에) 해결 과정을 머리로 기술해 보자 여러 가지 추론과 예상 결과..
그리고 추론을 하나씩 적용하고,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의 반복!!!
⚠️ (내가 자주 하는 실수) 조금씩 고쳐질 것 같은 신호에 휩쓸려 페이스를 잃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. 어떤 변경이 있었고 어떤 반응이 있었는지 '기록' 하고 조금 더 '생각'해볼 수 있는 순간이 필요하다!
이슈 완료하기
개발 서버부터 프로덕션 서버까지 하나씩 코드를 반영하고 검증을 해 나간다.
이렇게 실 서비스까지 적용하면 이슈 완료!!
PS. 이 글을 쓰는 날, 실섭에 바로 Fix 하려다 큰 사고를 일으켰다. ㅠㅠ